--- 디지털 인쇄로 책을...

     ---리룩스서버컴퓨터 백업

  공개 자료실 

 文學위의 文學 출판사입니다. PDF로 전환하여 복사기로 책을 만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인쇄'에서 확인해 보세요!

새로운 리눅스 서버... 일기 (日記)

하지만 기계 제작 일이 계속 주문이 들어와서 밀려 있는 상황. 조금 더 야간 잔업을 진중하게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 그렇지만 겨울철이다보니 너무 추워서 또한 야간 작업이 힘들었지만 이제 봄부터는 더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계속된 기계 주문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을 더 많은 시간을 기계작업시간으로 충당하여야만 한다는 점이었다.

  32. 쌀 쥐약으로 쥐를 박멸한다고 여기 저기 곳곳에 뿌려 놓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미미한 상태였습니다. 닭을 키우는 야외 울타리 주변에는 곳곳에 쥐 구멍들이 파여 있었고 그곳을 통하여 밤마다 쥐들이 들락날락 하자, 주인 남자는 쌀 쥐약을 쥐 구멍에 뿌리게 됩니다. 하지만 닭이 먹지 않기 위해서 구석진 곳에 큰 닭이 들어 갈 수 없는 울타리 밖과 담 벽에 붙어 있는 깊은 통로 같은 곳에 집중적으로 뿌려 놓았지요. 그래서 한 동안 살펴본 바로는 계속하여 집 안과 야외 울타리 에는 쥐가 먹은 흔적이 나타나면 계속하여 쌀 쥐약을 보충하여 주웠고 결국에는 먹은 흔적이 전혀 나타나지 않자 공급을 끊게 됩니다.


  하지만 집 안에 갑자기 새끼 쥐들이 돌아 다니기 시작하면서 노이로제에 걸린 상태로 주인 남자는 극도의 반응을 합니다.

  "이 놈의 쥐 새끼들을 어떻게 잡나?"

  그래서 이 번에는 쌀 쥐약으로는 새끼 쥐가 먹을 수 없다는 사실. 두 번재는 기존에 뿌려 놓은 쌀 쥐약이 아직도 먹지 않고 그래도 인 점을 들어 다른 방법을 찾게 된 것이지요.


  바로 <라면 사리>를 뿌셔서 만든 가루에 쥐약인 마이엘사의 <라쿠민티피>를 물에 타서 버무리 뒤 살포한 것이지요. 그리고 3일 뒤부터 창고 건물에 놓여 있는 쥐약이 (모두 3곳) 싹이를 하듯이 줄었습니다. 그의 예상이 맞아 들어 간 것입니다. 두 번째는 창고 건물에 있는 쥐가 먹을 수 있는 종류의 각종 씨앗과 사료를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서 쥐가 먹을 수 있는 모든 곡류와 사료를 없앤 뒤에 먹을 게 없어진 쥐 새끼가 쥐약을 먹게 된 건 당연할 결과였지요. 그런데 다른 방에서는 전혀 쥐약이 줄지 않았고 예상과 다르게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안 방에서 보았던 쥐새끼들은 모두 어디로 간 것일까요?' 하는 의문이 들었을 겁니다. 안방, 거실, 건너방, 그리고 창고까지도 모두 한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그곳을 통하여 쥐들이 들락날락하고 있었다는 걸 뜻했습니다. 그렇다면 그곳이 어디일까요. 그곳은 천정이었습니다. 천정에는 물론 슬라브 건불이여서 콘크리트로 되어 있었지만 천정을 치기 위해 전기 배선과 습기가 치지 않게 하기 위한 숨구멍이 있었습니다. 그곳을 통하여 집 안으로 들어 왔고 벽의 스치로폴 방한용 벽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 왔던 것이지요. 그리곤 새끼들을 낳았는데 방 안의 이블장과 서랍장 같은 곳에 무더기로 낳아 놓고 수시로 어미 쥐가 찾아 와서 젖을 물리고 키웠으며 조금 크면 밖으러 따라 나가게 됩니다. 그런데 새끼들은 아직 크지도 않았으므로 벽을 타고 나갈 수 없었고 그 때까지는 방 안에서 먹이 활동을 했는데 이 때 주인 남자와 여자에게 목격되었고 쥐를 박멸하기 위해 쥐약이 여기 저기 놓여 진 것은 당연한 사항입니다.


  농촌 주택에 있어서 쥐가 없는 생활은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 쥐약을 쳐서 쥐가 박멸하였다고 해도 이웃 집의 쥐가 다시 찾아 왔습니다. 쥐는 곳곳에서 목격되었고 간혹 집승을 키우는 경우 사료를 먹기 위해 자주 목격되고 출목하는 데 이때 집 안으로 들어 오기도 합니다. 열려진 문을 통할 수도 있지만 전혀 생각지도 않은 구멍을 통고할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태면 밖 에어컨 실외기를 놓고 벽에 구멍을 뚫어 놓은 경우라던가 하수도 구멍을 통과할 경우도 있었지요. 어쨌거나 가장 취약한 부분은 쥐에게 노출된 쥐구멍이 됩니다. 천정으로 쥐가 들어와 돌아 다니는 건 극도로 신경이 쓰이지요. 그것뿐이 아닙니다. 천정의 전선을 갉아 놓을 경우 정전사태까지 야기 하지요.


  그러다보니 전선이 끊어져서 천정의 전등들이 모두 먹통이되고 벽에 콘센트가 끊어진 상태여서 외부로 별도의 전선으 벽에 설치해야만 하였을 정도로 그 폐혜가 컸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주인 남자는 결국에는 쥐가 들어오는 곳을 다시 한 번 찾아 봅니다. 어수선한 물건이 잔뜩 들어 있는 창고 건믈은 도무지 쥐가 들어 와 있어도 찾아 낼 방도가 없었지요. 그렇지만 안방과 거실 같은 곳은 장롱과 씽크대를 이동 시켜서 쥐를 찾아 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쥐가 발견되면 바로 이런 방법으로 쥐를 때려 잡곤 했었던 적도 여러 번 있을 정도였지요.


  33. 쥐를 잡는 건 집 안에 들어 온 경우였지만 참새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글 쓰는 시간을 절약 하는 방법 文學 2023.05.13 2973 0
공지 2017년 맥에 윈도우10을 설치한다. (나의 맹세) 文學 2021.03.16 3760 0
공지 파라다이스 탁구 [1] 文學 2021.01.30 3637 0
공지 새해결심 文學 2019.01.03 3803 0
공지 2019년 1월 1일 文學 2019.01.02 3894 0
공지 입출금 내역과 할 일. 文學 2016.12.07 0 0
공지 글 쓰는 방법을 다르게 한다. 文學 2015.06.02 5218 0
공지 새로운 방식 文學 2014.01.14 13748 0
공지 책 출간에 대한 계획 文學 2013.04.19 30376 0
공지 서울 출장 (134) [1] 文學 2013.01.23 29052 0
공지 생각 모음 (140) [1] 文學 2013.01.15 31866 0
2873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文學 2019.08.29 94 0
2872 8월의 마지막 금요일 file 文學 2019.08.30 83 0
2871 8월의 마지막 날 文學 2019.08.31 104 0
2870 규칙과 시간의 할애 文學 2019.08.31 48 0
2869 새 모니터 (5) file 文學 2019.09.01 127 0
2868 9월 첫째 주 일요일 file 文學 2019.09.01 84 0
2867 일요일 저녁 장례식장을 갔다 나온 뒤에 탁구장을 향한다. file 文學 2019.09.02 123 0
2866 글 쓰는 작업 방법의 개선 secret 文學 2019.09.03 29 0
2865 부부 싸움에 대한 견해 文學 2019.09.03 70 0
2864 비가 내리는 산만한(어지러운) 날씨 file 文學 2019.09.04 102 0
2863 태풍에 대한 경각심과 불안감 文學 2019.09.06 66 0
2862 금요일은 대전으로 탁구를 치러 간다. 文學 2019.09.07 103 0
2861 포기함에 있어서... [1] 文學 2019.09.07 49 0
2860 집에서 공장으로 옮겨 온 글 文學 2019.09.08 79 0
2859 3일 연속 탁구장에 가게 되었다. 文學 2019.09.09 92 0
2858 새로운 결심 file 文學 2019.09.09 88 0
2857 추석이 가까와 진 것이 실감이 난다. [1] 文學 2019.09.10 94 0
2856 추석이 가까와 진 것이 실감이 난다. (2) 文學 2019.09.10 99 0
2855 그래도 내일은 해가 뜬다. file 文學 2019.09.11 164 0
2854 추석이 실감이 난다. (3) 文學 2019.09.12 54 0
2853 추석 전 날. secret 文學 2019.09.12 73 0
2852 추석이 실감 난다. (4) file 文學 2019.09.15 98 0
2851 명절 증후군 文學 2019.09.15 102 0
2850 추석 다음 날 file 文學 2019.09.15 116 0
2849 추석 다음 다음 날 文學 2019.09.16 121 0
2848 상중에 대한 편집작업 file 文學 2019.09.16 86 0
2847 편집 작업과 모니터의 교체 필요성 file 文學 2020.01.15 134 0
2846 이빨을 해 박았다. 文學 2019.09.17 79 0
2845 상중의 편집 작업에 대한 구상 file 文學 2019.09.19 129 0
2844 꼴에 대한 생각 文學 2019.09.19 75 0
2843 독감 文學 2019.09.19 76 0
2842 독감 (2) 23019.09.20 : 금 file 文學 2019.09.21 77 0
2841 들깨 탈곡한 뒤 대전으로 탁구를 치러 갔다. 文學 2019.09.21 137 0
2840 왜, 똑같은 사람들이 아닐까? 2019.09.21 15:04 文學 2019.09.23 49 0
2839 슬픔처럼 비가 내리면... 2019.09.22 09:49 file 文學 2019.09.23 93 0
2838 내게도 신의 느낌이 펼쳐 지다니... 2019.09.22 22:01 文學 2019.09.23 91 0
2837 심기일전 文學 2019.09.23 94 0
2836 상중 (喪中) (1) 편집을 하면서... 2019. 09.23 09:27 file 文學 2019.09.25 70 0
2835 발안 출장 2019.09.24 00:01 文學 2019.09.25 99 0
2834 발안 출장 (2) 2019.09.25 05:04 文學 2019.09.25 80 0
2833 안과와 이비인후과를 다녀와야 할 듯... 2019.09.27 08:37 文學 2019.09.28 80 0
2832 안과와 이비인후과를 다녀와야 할 듯... (2) 2019.09.27 08:04 文學 2019.09.28 186 0
2831 오래된 거래처 2019. 09. 27 13:07 文學 2019.09.28 53 0
2830 정신없이 바쁜 토요일 文學 2019.09.28 73 0
2829 9월의 마지막 일요일 file 文學 2019.09.29 94 0
2828 손바닥의 극심한 가려움 file 文學 2019.09.30 538 0
2827 안개 정국 file 文學 2019.10.01 134 0
2826 엇그저께 일요일 file 文學 2019.10.02 100 0
2825 과거와 현재의 차이점 file 文學 2019.10.03 88 0
2824 자영업을 운영하는 어려움 2019.1.04 06:43 file 文學 2019.10.05 122 0
내가 글을 쓰고 이곳에 옮겨 적는 것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이것이 책으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시간과 숙성을 거쳐야만 하는 데 그 진가가 발휘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로 첨부될 내용이라고 할까? 그렇다면 이 모든 내용이 언제 어느 때 충분한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까? 그것은 문학적인 고취하 충분히 무르익어야만 가능할 것이다.